인텔 SSD 530 사용후기 (4) 궁금증 해결 및 마무리다. 앞선 포스팅이 벤치마크 위주였다면, 피날레는 인텔 SSD 530을 실제로 사용할 때 궁금할 내용을 다뤄봤다. 먼저 내가 사용 중인 ASRock B85M Pro4 메인보드에는 SSD를 위한 전용 옵션이 존재하는데 이를 간략하게 살펴보자. SATA_0 에 연결한 인텔 SSD 530 시리즈 여기서 세부 옵션으로 들어간다. SATA 디바이스 타입 기본이 하드 디스크로 잡혀있다. 이걸 SSD로 바꿔주자! 이걸로 조금은 성능업! 새로운 전력관리 C7이 SSD 속도에 미치는 영향 인텔의 새로운 전력관리 기능 C7 State를 사용하면 SSD 및 HDD의 성능이 하락한다. 대개 SSD 벤치마크시에는 전력관리를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일상적으로 컴퓨터를 사..
인텔 SSD 530 시리즈 (3) 마이그레이션, 툴박스를 알아보자. 인텔 SSD를 구입하면, 2개의 프로그램을 공짜로 받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로니스 데이터 마이그레이션툴과 인텔 툴박스다. 마이그레이션 툴은 SSD를 새로 구입했을 때 기존 드라이브에 들어있는 운영체제를 통으로 카피해주는 프로그램이다. 도스시절 하드카피와 비슷하다고 할까. 인텔 툴박스는 SSD 최적화 트림 툴이다. 이 두 프로그램은 인텔 홈페이지 SSD 섹션에서 누구나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인텔 마이그레이션 소프트웨어 설치 화면. 바탕화면에 설치된 아이콘 인텔 마이그레이션 툴의 첫 시작화면 디스크 복제 첫단계. 원본 하드 디스크를 선택한다. 두번째로 목표 디스크인 인텔 SSD를 선택한다. 데이터 복제 방법은 현재 / 비례 / 수동이 있다..
1부 부팅속도에 이어 포토샵과 게임, 유틸리티 벤치마크를 인텔 530 SSD vs HDD 에서 해봤다. 인텔 SSD 530 시리즈는, SATA 6Gb/s 0번 포트에 단일연결했다. 주의할 점이 530 시리즈는 테스트전 벤치 세팅을 반드시 '제로필'로 잡아줘야 제 속도가 나온다. 우선 일반 HDD의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 벤치결과. 100GB 앞자르기 상태. 벤치값은 평범한 수치다. 인텔 SSD 530의 벤치결과. 순차 읽기/쓰기가 500을 넘는다. 운영체제에서 중요한 4k 쓰기 속도가 116을 기록. SSD 벤치에 많이 쓰이는 앤빌 스토리지는 균일한 벤치값을 보여주는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에 비해, 벤치 결과가 들쭉날쭉하다. 타사 SSD도 마찬가지다. 재부팅 과정을 거쳐도 이런 현상은 변하지 않더라. 한타임..
이미 SSD를 2개 사용 중이라 가격흐름에 관심이 없어 잘 몰랐는데 1년 사이 경쟁이 붙어서 많이 낮아졌더라. 보통 쓸만한 용량이 120GB / 240GB 인데 이 둘의 가격이 이제 스스럼없이 지갑을 열만한 적당한 수준까지 내려왔다 말이다. SSD는 컴퓨터에 들어가는 부품 중에서 체감성능이 가장 크다. 고물컴도 SSD를 달면 신세계를 만난다. 그럼에도 여전히 가정용 컴퓨터나 노트북에 기본으로 채택해 판매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비슷한 가격이면 SSD 용량이 HDD보다 터무니없이 작기 때문이다. 한편으로 SSD에 표기된 작은 용량의 숫자는, 컴퓨터 지식이 부족한 일반인에게 '속도'가 느릴 거라 오해하게 만드는 면도 있다. 확실히 예전 20~40GB SSD가 주류였을 때는 이런 작은 용량이 SSD 구입의 걸..
그래픽카드를 고를때 가장 우선하는 기준이 정숙함이라면 잘 찾아오셨다. GT 740 프라임 에디션 ARCTIC PRO는 92mm 대형 냉각팬을 갖춘 아틱 악셀레로(Accelero) L2 PLUS를 장착해서 지금까지 내가 테스트해본 GT740 시리즈 중에 가장 고요한 그래픽카드 되시겠다. 저소음도 좋지만 오버클럭 에디션이라 이미 다른 740 시리즈를 구입한 사람들이 살짝 안타까워진다. 가격도 착하다~ 9만원대. 이엠텍 보급형 제품군에서 아틱 프로 쿨러를 장착한 제품은 개인적으로 처음보는데, 끝내주는 아틱 프로 쿨러와 팩토리 오버클럭을 적용하고, 원슬롯 타입 제품으로 새롭게 출시한 이엠텍 HV GT740 Prime Edition D5 1GB ARCTIC PRO를 살펴봤다. 이엠텍 HV GT740 Prime E..
USB 메모리 가격이 너무 저렴해서, DVD라이터가 어디에 쓰일까 궁금할 거다. 개인이야 USB 들고 다니면 된다. 근데 타인에게 자료를 건네주려면? USB까지 넘길 수는 없는 일이다. 인터넷이 안되는 상황도 있을 것이고, 그럴때 양쪽 다 ODD가 있다면 꽤 유용하다. 4.7GB 용량을 단돈 300원에 이용할 수 있으니까. 게다가 노트북은 기본적으로 DVD가 달려있어서 자료를 건네 받아 사용할때도 용이하다. 또 요즘은 디지털TV에서 기본적으로 USB방식 DVD를 지원해서 영화 재생도 가능하다. 있으면 여러모로 편리한 물건. 트레이 여닫이가 아닌, DVD와 CD를 직접 집어넣는 편리한 슬롯-인 방식으로 구동소음을 최소화한, 삼성 외장ODD, SE-B18AB를 살펴봤다. 삼성 Ultra Thin Portab..
현재 지포스 최하위 라인업에 속한 GT740은 하드웨어를 취미로 하는 사람보단, 평범한 사람에게 어울리는 그래픽카드다. 최신 7xx 시리즈 중엔 가장 저렴한 가격을 가진 엔트리 제품지만, GDDR3가 아닌 GDDR5를 사용해 성능을 높인 제품으로, 내장그래픽 정도는 가볍게 발라버린다. 스톰X 쿨링시스템과, GPGPU 활용, 적은 소비전력, 팩토리 오버클럭으로 성능을 높이고, 최대 4K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3대를 동시에 연결해 사용할 수 있는 이엠텍 제논XENON 지포스 GT740 STORM X OC D5 1GB를 살펴봤다. 이엠텍 XENON 지포스 GT740 STORM X OC D5 1GB 사용후기입니다. 지포스 GT 740은 이름에서 알수있듯 엔트리급 그래픽카드다. 1G GDDR5 메모리를 탑재. 스톰..
예전에 내장그래픽만 사용하는 친구가 지금보다 조금만 더 성능이 좋았으면 싶은 상황이 종종 있다고 얘기하더라. 너무 강력한 성능은 가격이 비싸고 또 사실 그 정도까지는 필요없는, 이런 엔트리급 제품은 적당한 성능과 적절한 가격을 바라는 사람을 타겟으로 나오고 있다. 그래서 가격도 10만원 언저리에 저렴하게 책정되어 있다. 오늘 살펴 볼 이엠텍 HV 지포스 GT740 OverClock Edition D5 1GB은 레퍼런스 제품보다 11% 오버클럭된 1110 Mhz의 코어클럭과 적당한 성능에 어울리는 소비전력, 작은 크기를 가진 최신 GT740 시리즈 그래픽카드다. 모델명을 잘 보면 GTX 가 아니다. X가 빠져서 GT 740 이다. 엔트리급 네이밍. 제품 박스에 HV 팩토리 오버클럭 모델 글귀가 새겨져 있다..
검정색 경향의 컴퓨터 모니터 시장에서 화이트 모니터는 흔하지 않은데, 거기에 디자인까지 끝내주는 모니터를 찾기란 정말 어렵다. 멋진 모니터를 찾아도 그걸로 끝이 아니다. 겉모습에 치중해 기능이 별로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오늘 살펴 볼 삼성 S27D360은 이런 검정색 위주의 칙칙하고 답답한 색상에서 벗어나, 책상 위를 밝혀줄 화이트블루 투톤 디자인을 적용하고, 내로우 슬림 베젤, 삼성의 독자적인 매직 브라이트 기술과 게이머를 위한 미션클리어 원터치 게임모드까지 더해, 기능과 디자인을 두루 섭렵한 27인치 AD-PLS 광시야각 패널 LED 모니터다. 삼성 S27D360 모니터 사용후기입니다. 삼성 S27D360 모니터의 핵심인 AD-PLS 패널은 삼성에서 개발, 광시야각, sRGB 기준 99% 색재현율..
GTX750도 역시나 성능을 높인 오버클럭된 제품이 속속 나오고 있는데, 레퍼런스와 실제 가격차이도 얼마 나지 않으므로, 일반유저라면 괜히 오버하다 카드 태워먹지 말고 이런 팩토리 오버클럭 제품을 구입하는 것도 좋다. 말하자면 미리 돈을 지불해 오버 제품을 구입하는 것인데, 겨우 1만원 차이로, 일반 제품과 달리 쿨링까지 오버 상태에 맞춰 발매하는 것도 그렇고, 모니터 지원이나 G-Sync 같은 추가 기능이 들어가 있다는 걸 놓치지 말아야 한다. 요즘 인기인 GTX750 제품에, 팩토리 오버클럭과 듀얼쿨링 및 4개 모니터를 지원하는 이엠텍 HV 지포스 GTX750 OverClock Edition D5 1GB 를 살펴봤다. 이엠텍 HV 지포스 GTX750 OverClock Edition D5 1GB 사용후..
보조전원 없는 그래픽카드는 정말 오랜만이랄까. 최근까지 게임 돌릴 때 쓸만한 그래픽카드는 최소 6핀 전원이 필요했기에, 보조전원 없이 나온 지포스 GTX750 시리즈의 향상된 전력효율은 기대를 갖게 했다. 게다가 성능도 오히려 올랐다고 하는데.. 그래서 그런지 GTX750 시리즈는 미니타워 및 LP형으로 나와 ITX 시스템 사용자에게 인기가 있다. 보조전원 없이 성능 좋고, 작아서 더 돋보이는 맥스웰 공정의 첫개시작, 이엠텍 제논XENON 지포스 GTX750 STORM X 1GB 그래픽카드를 테스트해봤다.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750 STORM X 1GB 사용기입니다.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750 STORM X 1GB 라는 제품명에서 알 수 있듯, 스톰X 쿨링시스템을 적용했다. 맥스웰 ..
Nvidia Virtual Audio 엔비디아 버추얼 오디오는 엔비디아의 휴대용 클라우드 게임기 쉴드(Shield)에서 쓰이는 스트림 오디오 드라이버다. 쉴드를 사용하지 않으면 윈도 프로세스만 잡아먹으므로, 제어판에서 냉큼 삭제하자. 그 다음에 Win+Pause Break를 눌러 시스템 등록정보에 보면 물음표 표시가 뜰텐데 "사용안함" 으로 설정하면 완벽!